닫기

로그인

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Herpotologists

논문검색

홈 - 학회지 - 논문검색

pISSN: 2005-9019

학술발표대회 초록집, (2021)
pp.8~8

- 제주도 외래거북류의 분포현황과 유전적 종 동정 -

박선미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오홍식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교통과 통신의 발달, 산업화에 따른 경제발전으로 인간의 활동 범위가 확장되었고, 지구상에 나타 나는 기후변화로 인해 외래생물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는 특이한 애완동물에 대한 선 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거북류의 거래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수입된 외래거북 중 일부는 수입 당시 원 래의 목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국내 수계로 유입되어 확산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붉은귀거북의 분포와 서식지 정보를 파악하는 단편적인 연구만 이루어졌다. 일부 연구에서는 정확한 종 동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추정하고 있으며, 외래거북의 현황 파악이 매우 미흡한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내륙습지 367곳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외래거북의 분포 현황 을 파악하고,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통한 종 동정 및 유입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46개 지점에서 4과 6속 11종의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 노란배거북(T. s. scripta), 쿰 버랜드(T. s. troostii ), 리버쿠터(Pseudemys concinna), 페닌술라쿠터(P. peninsularis), 플로리다붉 은배거북(P. floridana), 북부붉은배거북(P. rubriventris ), 동부비단거북(Chrysemys. picta picta), 중국줄무늬목거북(Mauremys sinensis ), 중국자라(Pelodiscus sinensis ), 아마존노란점거북 (Podocnemis unifilis ) 등 총 258개체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제주시 조천읍에서 종다양도가 가장 높 았고, 애월읍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제주도 내 외래거북은 서식지, 개체수, 종다양도 등 모든 측면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현재 제주지역에는 외래거북의 유입과 정착이 빠른 속도 로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외래거북 집단의 mtDNA 유전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28개의 CYTB 서열 중 16개 서열은 붉은귀거북(99.91-100%)과 유사하였고, 8개 서열은 늪거북속(99.82-100%), 4 개 서열은 중국줄무늬목거북(99.73-100%)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붉은귀거북 집단의 CYTB 서 열은 5가지 haplotype으로 구분되었고, 리버쿠터와 중국줄무늬목거북은 각각 3가지 haplotype으로 구분되어, 수입 당시 다양한 모계혈통에서 기원한 개체들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붉은귀거 북 집단의 일부 서열은 국내에서 보고된 서열과 동일하여 이 개체들은 동일모계 집단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미국에서 국내로 수입된 이후, 제주지역으로 유통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 은 제주지역 외래거북류의 서식 현황 연구 및 유입경로 파악에 정확하고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제주지역 외래거북 집단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Current Distribution and Genetic Identification of Alien turtles in Jeju Island

Seon-Mi Park

Hong-Shik Oh

다운로드 리스트